카테고리 없음

[2편] 상속세·증여세 계산법 – 실제 예시로 쉽게

이이룬 2025. 8. 9. 03:02
[2편] 상속세·증여세 계산법 – 실제 예시로 쉽게 

5억, 10억, 15억 기준으로 상속세와 증여세를 단계별로 계산하고 절세 포인트를 쉽게 설명합니다.

핵심 한 줄: 계산은 복잡해 보여도, ‘기준금액 - 공제 = 과세표준 → 세율 적용’의 흐름만 알면 쉽습니다.

상속세·증여세 계산의 기본 구조

상속세와 증여세 모두 ‘재산가액에서 공제를 빼고, 남은 금액에 세율을 곱해 세금을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단, 상속은 공제 혜택이 많고, 증여는 공제가 적습니다.

단계별 계산 예시 (10억 재산)

구분 상속 증여
재산가액 10억 10억
공제액 5억 (기본공제) 0.5억 (성인 직계 10년간)
과세표준 5억 9.5억
세율 20% 구간 30% 구간
계산 세액 약 1억 약 2.7억

시세 상승 시 비교 (5년 뒤 15억)

구분 상속 증여
재산가액 15억 10억 (증여 시점 고정)
공제액 5억 0.5억
과세표준 10억 9.5억
세율 30% 구간 30% 구간
계산 세액 약 3.6억 약 2.7억
포인트. 재산 가치가 오르면 증여가 유리할 수 있지만, 상속은 공제 혜택이 크기 때문에 현재와 미래의 시세, 가족 구성, 다른 재산까지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절세 팁 3가지

첫째, 10년 단위 증여 공제를 활용해 나눠서 주면 세율 구간을 낮출 수 있습니다.

둘째, 부담부 증여(빚 있는 재산 증여)를 활용하면 일부를 양도소득세로 전환해 절세 가능성이 있습니다.

셋째, 사전증여와 상속을 적절히 섞어 공제와 세율을 모두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여러분 상황은 어떤가요? 재산이 오를 것 같아 미리 증여할지, 상속 공제를 노릴지 고민되시죠? 본문 표를 보고 본인 상황을 댓글로 적어 주시면, 다음 편에서 사례와 함께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이글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글은 일반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세무·법률 자문이 아닙니다. 실제 결정을 하기 전에는 반드시 전문가 상담을 받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