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청년들을 위한 정부 지원금을 총정리했습니다.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책 정보, 지금 확인해보세요!
청년들을 위한 정부 지원금
1. 청년도약계좌
- 정의: 정부 매칭 저축 상품으로, 최대 5000만 원까지 목돈 마련 가능
- 혜택: 3년 유지 시 비과세 + 정부 기여금의 60% 수령
2. 청년주택드림대출
- 정의: 무주택 청년 단독가구 대상 주택 구입 전용 대출
- 혜택: 최대 4억 원까지, 금리 2.2%대
- 조건: 연소득 6000만 원 이하 + 청약 당첨 후 3개월 이내 신청
- 우대금리: 결혼, 출산 시 추가 인하
3. 청년내일저축계좌
- 정의: 정부가 월 10~30만 원 매칭 지원
- 혜택: 3년간 최대 1440만 원 저축 가능
- 조건: 월소득 50~250만 원 / 중위소득 100% 이하 / 19~34세
4. 청년 월세 지원
- 정의: 정부가 월세 일부(최대 월 20만 원)를 지원
- 조건: 중위소득 150% 이하 / 보증금 8000만 원, 월세 60만 원 이하 / 1인 청년 가구
- 지원기간: 최대 12개월 (총 240만 원)
- 신청: 지자체별 상이, 서울시는 5월 공고 예정
5.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 정의: 부모와 따로 사는 청년도 주거급여 수급 가능
- 혜택: 1인 가구 월 최대 35.2만 원 / 2인 가구 39.5만 원
- 조건: 부모가 주거급여 수급 중 + 중위소득 46% 이하
- 신청: 전입신고 후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6. 그 외 달라진 2025 청년 혜택
- 국가장학금 확대 : 학자금 지원 9구간까지 지원 확대 (대학생 75% 해당)
-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 석사 월 80만 원, 박사 월 110만 원 생활비 지원
- 장병내일준비적금: 납입한도 40만 원 → 55만 원 상향, 최대 2019만 원 수령 가능
- 면접 양복 대여 : 서울시 ‘취업날개’ 등, 연 최대 10회 정장 무료 대여
- 청년 마음건강 지원 : 서울시, 무료 심리상담(6회), 6월·9월 신청 가능
※ 본 내용은 정책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각 정책의 공식 홈페이지 및 복지로(
http://www.bokjiro.go.kr)를 참고해 주세요.